---------------------------------------------------------------------------------------------------------
윈도우10 인사이더 프리뷰 버전에서만 가능하다. 현재 프리뷰 버전은 더이상 지원이 불가능하다.
wsl --mount 옵션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윈도우11 버전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https://github.com/microsoft/WSL/issues/7940
---------------------------------------------------------------------------------------------------------
듀얼 부팅을 하게 될 경우 윈도우, 리눅스 각 환경에 파일들을 손쉽게 편집 수정이 필요한 상황이 필요한데.
해당 툴을 찾아봐도 마땅한 툴들이 없다. 있어도 유료 프로그램들뿐...
찾다 보니 wsl2 버전으로 가능하다는 글을 봤다.
우선 wsl2 버전을 설치를 해야 한다.
wsl2 버전을 설치 하려면 윈도우 버전 21H1 이상 버전이어야 한다.
버전이 맞다면 이제 설치를 해보자. wsl1 버전이 설치 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한다.
위 파일을 다운 받아서 실행 해준다.
설치가 끝나면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열고 wsl --set-default-version 2 입력 해서 기본 버전을 wsl2 로 전환 하자.
버전 확인을 해보자.
wsl -l -v 하면 버전 확인이 가능하다.
wsl --update 한번 해주고
wsl --shutdown 해주자.
연결하고 싶은 파티션을 찾자.
나같은 경우 듀얼 OS 를 하드 하나에 넣었다 윈도우, 리눅스
MS Dos Command 창 열어서
diskpart 열고
list disk 로 디스크 확인
위와 같이 자신의 하드 환경에 맞춰서 확인
하면 파티션 6에 알 수 없음 영역으로 220 G 잡혀 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게 리눅스 영역이다.
이제 파티션을 연결해보자.
powershell(관리자)
wmic diskdrive list brief 하면 위와 같이 뜬다.
DeviceID 를 사용 할것이다.
하드 용량이 작은게 듀얼 OS 하드 이다.
그러니깐 아까 조회한 것 기준으로
wsl --mount DeviceID --partition 번호 하면 된다.
wsl --mount \\.\PHYSICALDRIVE1 --partition 6
그러니 위와 같이 하게 되면
시스템에 윈도우 시스템이 붙는다 반대로 umount를 하고 싶다면 mount 명령어를 umount 를 입력 하면 된다.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Internet Explorer 보안강화구성 해제 (0) | 2022.04.21 |
---|---|
Bluetooth가 꺼져 있습니다. (0) | 2022.04.16 |
크롬 페이지 이동 알림 (2) | 2022.03.06 |
Microsoft Edge TTS(Convert Text To Speech) 기능 (0) | 2022.02.27 |
Seagate SSD firmware upgrade (0) | 2022.02.17 |